KIMYUSEUNG

심전도&골밀도 검사

작은 병변도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김유승내과

심전도 검사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받아 화면이나 종이에 옮겨 놓는 검사 과정을 말합니다.

심장 근육 수축의 규칙성은 심장 안에서 발생하는 매우 작은 전기 신호에 의해 유지됩니다.
이 전기 신호를 포착하는 것이 바로 심전도 검사입니다.

검사방법 심전도실에서 웃옷을 벗은 뒤 작은 스티커 형태의 전극을 붙여 기록하게 됩니다.
검사방법
심전도실에서 웃옷을 벗은 뒤 작은 스티커 형태의 전극을 붙여 기록하게 됩니다.
검사 소요시간 5분 가량 소요됩니다.
검사 소요시간
5분 가량 소요됩니다.

진단 질병

  • 부정맥
  • 심근경색
  • 심장 근육의 비후
  • 심장 내 전기 신호
    전도로의 이상 등

골밀도 검사

X-선을 이용하여 우리 신체 중 특정 부위 뼈의 밀도를 측정한 후 결과를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골연화증과 골다공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으며 골절 후 접합 부분의 경과를 확인하는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골다공증은 노년기에 더 흔하게 나타나므로 노인들에게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권장합니다.

검사 대상

  • 1
    가벼운 외상에도 골절이 잦은 경우
  • 2
    뼈가 약해지기 쉬운 폐경 전ㆍ후의 여성
  • 3
    골다공증 가족력이 있는 경우
  • 4
    고령자
  • 5
    요통이나 류마티스관절염으로 치료중인 경우
  • 6
    과거에 비해 키가 작아진 경우

진단기준

/_files/5Rufna3eI.jpg
  • 1

    골다공증의 검사결과는 숫자로 나타나게 되며, 이를 T-Score 라고 부릅니다.

  • 2

    정상치를 0으로 보았을 때, 검사수치가 양(+)으로 커질 경우 골밀도가 높은 것이며,

  • 3

    음(-)으로 커질 수록 골밀도가 낮다고 판단합니다.

  • 4

    수치에 따라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으로 나누며 보통 골다공증은 -2.5이하를 기준으로 진단합니다.